728x90
반응형
MS SQL Server 인덱스
MS SQL Server에서 클러스터형과 넌클러스터형의 개념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서 사용됩니다.
1. 클러스터형 인덱스(Clustered Index)
클러스터형 인덱스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테이블당 한 개의 클러스터형 인덱스만 가질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형 인덱스는 데이터를 정렬하여 디스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하므로, 검색 및 범위 검색에 효율적입니다.
설정 개수
주로 테이블의 주요 검색키(Primary Key)에 대해 생성됩니다. Primary Key가 없는 경우에는 유니크한 컬럼에 대해 클러스터형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넌클러스터형 인덱스(Non-clustered Index)
넌클러스터형 인덱스는 데이터 레코드의 물리적인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인덱스를 따로 관리합니다.
넌클러스터형 인덱스는 테이블의 데이터 레코드가 물리적으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인덱스가 별도의 구조로 관리되어 검색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설정 개수 및 사용
하나의 테이블에 여러 개의 넌클러스터형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주로 WHERE 조건, JOIN 작업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됩니다.
요약
이 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빠른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인덱스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클러스터형 인덱스는 테이블의 물리적인 정렬에 영향을 주는 반면, 넌클러스터형 인덱스는 데이터의 논리적 순서를 정렬합니다.
출처 | ChatGPT
728x90
반응형
'DataBase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dex Scan 과 Index Seek 차이 | ChatGPT (0) | 2024.10.10 |
---|---|
MSSQL 에서 READUNCOMMITTED 과 NOLOCK 차이 | ChatGPT (0) | 2024.09.10 |
INNER JOIN 을 사용하여 UPDATE 문 작성 방법 | ChatGPT (0) | 2023.11.21 |
MSSQL 오늘 날짜 기준 달의 첫날과 마지막 날 구하는 방법 | ChatGPT (0) | 2023.10.30 |
mssql 실행 계획 캐싱 개념과 원리와 사용법 | ChatGPT (1) | 2023.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