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anonical URL 개념
동일한 콘텐츠가 여러 개의 URL로 접근될 수 있는 경우
어떤 URL이 기준이 되는지를 알려주는 HTML 태그
"캐노니컬"은 "기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캐노니컬 URL은 검색 엔진에게 동일한 콘텐츠가 여러 개의 URL로 존재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페이지라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색 엔진은 중복 콘텐츠로 간주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신 캐노니컬 URL을 기준으로 해당 콘텐츠를 인덱싱하고 순위를 매길 수 있다.
Canonical URL 설정
캐노니컬 URL을 설정하기 위해 <link>
요소를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웹 페이지의 <head>
태그 내에 포함된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example.com/canonical-url" />
위의 예시에서 href
속성은 캐노니컬 URL을 지정한다.
여러 개의 URL이 있을 때, 이 <link>
요소는 웹 페이지의 기본 URL로 간주될 URL을 명시적으로 지정한다.
Canonical URL 사용의 이점
캐노니컬 URL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중복 콘텐츠 문제 해결
: 동일한 콘텐츠가 여러 개의 URL로 접근 될 때 검색 엔진은 중복 콘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캐노니컬 URL을 설정하면 검색 엔진은 해당 URL을 기준으로 중복 콘텐츠를 처리하고,
다른 URL들은 캐노니컬 URL에 대한 참조로 취급한다.
2. 페이지 점유율 집중
: 동일한 콘텐츠가 여러 개의 URL로 접근되는 것을 방지하여 페이지의 점유율을 집중시킬 수 있다.
검색 엔진은 캐노니컬 URL을 기준으로 페이지의 관련성과 순위를 평가하기 때문에,
콘텐츠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검색 결과에서의 가시성을 향상시킨다.
출처 | ChatGPT
728x90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창 새 탭에서 보기 단축키 크롬 (0) | 2023.08.02 |
---|---|
ScriptBlock 이란 (ChatGPT) (0) | 2023.07.20 |
Postman 주요용도 - Postman 을 어디에 사용하면 좋을까? (ChatGPT) (0) | 2023.06.14 |
IIS 풀 재생 하면 일어나는 일 (ChatGPT) (0) | 2023.06.12 |
로드 밸런싱 기술 구현 방법 (ChatGPT)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