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taBase/MSSQL

(13)
COUNT(*) 과 COUNT(1) 성능차이 | ChatGPT 'COUNT(*)'과 'COUNT(1)'은 둘 다 테이블의 레코드 수를 센다. 성능 차이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 그러나 이 두 가지 표현 간의 성능 차이는 일반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실제로 성능상의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COUNT(*)`와 `COUNT(1)`을 대부분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한다. COUNT(*) 는 레코드 수만 세는 것 그 이유는 `COUNT(*)`는 모든 컬럼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레코드 수만을 세는 것이기 때문에, `COUNT(1)`과 같이 간단한 상수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처리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가독성과 코드 일관성 고려 할 것 따라서 성능 차이를 기대하기보다는 가독성과 코드 일관성을 고려하여 둘 중 ..
MSSQL 에서 1,0,NULL 정렬 결과 순서는? | ChatGPT NULL 은 가장 작은 값으로 취급 된다. ASC : NULL, 0, 1 DESC : 1, 0, NULL 출처 | ChatGPT
MSSQL 에서 입력한 문자 순으로 정렬 하는 방법 (chatGPT) 입력한 문자 기준으로 결과를 보고 싶을 때 CHARINDEX 를 사용한다. CHARINDEX ( expressionToFind , expressionToSearch [ , start_location ] ) expressionToFind 찾으려는 시퀀스가 포함된 문자 식 입니다. expressionToFind는 8,000자로 제한됩니다. expressionToSearch 검색할 문자 식입니다. start_location 검색이 시작되는 integer 또는 bigint 식입니다. start_location이 지정되지 않았거나 음수 값 또는 0 값이면, expressionToSearch의 시작 부분에서 검색이 시작됩니다. DECLARE @ITEM_NO_LIST VARCHAR(100) = '34,23,63,44..
WITH (READUNCOMMITTED) 와 WITH (NOLOCK) 차이 | ChatGPT WITH (READUNCOMMITTED) Microsoft SQL Server와 관련이 있습니다. 트랜잭션이 다른 동시 트랜잭션으로부터 커밋되지 않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더티 리드(dirty read)" 격리 수준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커밋되기 전에 동시 트랜잭션이 수행한 변경사항을 읽을 수 있으므로 일관성이 없거나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습니다. WITH (NOLOCK) Microsoft SQL Server의 쿼리 힌트와 관련이 있습니다. 특정 SELECT 문에서 "WITH (NOLOCK)" 쿼리 힌트를 사용하여 커밋되지 않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WITH (READUNCOMMITTED)"와 유사하게 일관성이 없거나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
MSSQL SP 프로시저 쿼리 검색 방법 아래 쿼리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SP 프로시저를 검색 할 수 있다. SELECT OBJECT_NAME(OBJECT_ID) FROM SYS.PROCEDURES WHERE OBJECT_DEFINITION(OBJECT_ID) LIKE '%검색어%' ORDER BY OBJECT_NAME(OBJECT_ID)

반응형